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2

[우아한테크코스] 프리코스 시작 (환경 설정) 오늘부터 우아한테크코스 프리코스가 시작되었다. 지원서를 제출한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수행되며 매 주차별로 미션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1주차 미션은 개발환경 셋팅 및 간단한 애플리케이션 제작이 미션으로 주어졌다. 본격적인 코드 작성에 앞서 두가지 셋팅을 진행해야했다. 1. 자바 버전 변경 ( 11 -> 17 ) 이때까지 진행했던 학습들은 자바 11버전을 사용했었다. 그런데 이번 우테코 프리코스에서는 17버전을 사용한다고 한다. 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버전 변경을 완료하였다. Mac에서 java 17 버전 JKD 설치, java 버전 변경 oracle에서 JDK를 다운받은 후 설치하고, ./zshrc의 JAVA_HOME의 PATH를 수정해주었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 2023. 10. 19.
데이터베이스 - 관계대수(Relational Algebra) 1. 집합 연산자 합집합(Union, ∪) 교집합(Intersect, ∩) 차집합(Difference, −): 방향성이 존재함 카티션프로덕트(Cartesian product, ×): 집합 사이의 곱셈, 피연산자의 테이블 속성이 동일하지 않아도 됨 ∪,∩,− 연산의 피연산자는 차수(degree)가 같고, 대응하는 속성별로 도메인(타입)이 같아야함 ∪,∩,× 연산은 결합적(associative)이고 교환적(commutative)임 2. 순수 관계 연산자 셀렉트(Select, σ): 릴레이션의 수평적 부분 집합. 튜플 조건식을 만족하는 튜플로 구성된 릴레이션을 결과로 가짐 프로젝트(Project, ∏): 수직적 부분 집합. 타겟 속성으로만 구성된 릴레이션을 의미함. 중복된 튜플은 제거함 조인(Join, ⋈):.. 2023. 10. 16.
Github SSH 등록, Github CLI 인증 ❯ Github SSH 등록 SSH: Secure shell의 줄임말로 보안이 강화된 shell 접속을 말한다. github에 ssh 공개키를 등록하고 ssh를 이용해 git clone을 할 수 있다. 1. SSH 키 생성 ssh 키는 비대칭키로 아래 명령어를 통해 ssh 키페어를 생성할 수 있다. ssh-keygen ssh-keygen 명령어가 실행되면 ~/.ssh/ 경로에 id_rsa(개인키, Private Key)와 id_rsa.pub(공개키, Public Key)가 생성된다. 2. Github에 공개키 등록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통해 공개키를 확인하고 복사한다. cat ~/.ssh/id_rsa.pub Github > Settings > SSH and GPG keys를 선택한다. New SSH .. 2023. 9. 13.
코드 컨벤션 설정: Formatter, CheckStyle 적용(intelliJ) 미니 프로젝트를 하면서 코드를 깔끔하게 작성하고싶다는 생각을 했다. 여러가지 방법을 찾아보다가 코드 컨벤션과 관련해 formatter와 checkstyle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코드 컨벤션이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사용되는 코드를 작성할 때 적용되는 일정한 규칙과 가이드라인을 말한다. 코드 가독성을 향상시키고 협업과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며, 일관성 있는 코드 작성을 돕는다. 코드 컨벤션은 팀 또는 프로젝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중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자바 코드 컨벤션은 Google Java Style Guide 이다. 매번 코드 컨벤션 문서를 보고 해당 내용을 직접 적용하기에는 비효율적인 부분이 있다. formatter와 checkstyle을 사용해 자동으로 코드 컨벤션을 적용할 수 .. 2023. 8. 24.
120일차: 수료, 백엔드 부트캠프를 마치며 120일의 부트캠프 과정이 끝이 났다. 부트캠프를 시작할 때엔 프로그래밍 언어조차 모르던 내가 팀원들과 함께 무언가를 만들고 있는것을 보면 새삼 신기하기도 하다. 과정을 진행하면서 위기가 오기도 했는데 그 과정을 통해 많이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이론 학습 (Section 1 - 4) 이론을 배우던 처음 4개월은 말그대로 정신없는 시간이었다. 새로운 개념들과 용어들을 배웠고 기존에 경험하지 않았던 언어와 도구를 다루어야했다. 특히 코드스테이츠 학습 방식이 강의식이 아니라 교재를 제공하고 자기주도학습을 진행하는 방식이었기에 이해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을 해야했다.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페어 프로그램을 통해 페어와 함께 문제를 풀거나 실습을 진행하는 과정도 있었는데 같이 하는 시간인 만큼 .. 2023. 8. 3.
119일차: 포트폴리오 작성 포트폴리오란, 내가 작성한 프로젝트를 정리한 것을 의미한다. 개인 소장용이 아니라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한 자료로 '잘 쓰는 것, 잘 읽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엇을 구현하려고 했는지, 구현하려는 이유가 무엇인지 기술한다. 어떤 기술 스택을 사용했는지, 어떤 구현 과정을 거쳤는지 설명해주는것도 필요하다. 그리고 결과물(링크, 영상 등)과 회고에 대한 내용이 들어갈 수 있다. 아무래도 이번에 진행한 프로젝트가 처음이기도 했고 포트폴리오를 만들어본적이 없어서 여러 가지 샘플을 참고했다. 팀 프로젝트를 개인 포트폴리오로 만드는과정이라 팀에서 진행한 내용과 개인이 진행한 내용을 구분해서 작성했다. 과정을 수료하고나면 테스트 코드 작성이나 기타 리팩토링 등 추가 수정을 진행할 예정인데 해당 부분을 반영해서.. 2023.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