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92 [우아한테크코스] Lv. 1 - 3주차 회고: 리팩토링 페어와 작성했던 코드를 가지고 추가 기능을 구현하는 한 주였다.페어와 함께 작업을 하다가 다시 혼자 작업을 하게 되니 처음 같이 작업했을때와는 반대로 또 다시 어색함을 느낀 한주였다.사다리 게임 결과 로직 구현 (TDD) + 리뷰지난주에 만들었던 사다리를 실행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로직을 작성해야했다.네이버 사다리타기 프로그램과 같은 기능을 만든다고 생각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TDD 방식으로 코드를 작성해야했는데, 페어와 함께했던 지난주와는 달리 혼자 진행해야해서 고민이 더 많이 됐다.어떤걸 테스트해야할까? 어떤 방식으로 테스트할까? 이런것들을 함께 의논하고, 같이 방법을 찾아갔었는데이번에는 그 과정을 혼자 해야하다보니 이게 맞는건가? 하는 의문이 계속 들었다. (바로바로 물어볼곳이 없어.. 2024. 3. 4. [JAVA] static 키워드와 static factory method 첫 미션을 하면서 리뷰어가 계속해서 남긴 코멘트가 있었다. "왜 static을 사용했나요?" "static 없이 구현해 보세요" "static factory method를 써야 할까요?" 사실 그전까지는 static이 "클래스 생성 없이 쓸 수 있다" 정도로만 알고 있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깊게 알아볼 수 있었다. ❯ Static static이란 '정적'이라는 키워드로 클래스, 필드, 메서드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자바 메모리 영역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특징은 아래와 같다. Static 영역 Stack 영역 Heap 영역 - 클래스 정보나 static으로 선언된 것 저장 - JVM 종료 시 메모리에서 해제됨 (프로그램 종료전까지 메모리에 계속 존재) -.. 2024. 2. 29. [우아한테크코스] Lv. 1 - 2주차 회고: 마인드셋 새로운 미션이 시작된 한주였다.지난 자동차 경주 미션의 경우 프리코스때 한번 작성해본적 있는 코드였지만 주어진 시간이 짧아 아주 바쁘게 돌아가는 느낌이었다. 이번 미션은 약 2주에 걸쳐 진행된다. 주제는 "사다리 타기"였다.또한 미션은 두 단계로 나눠서 진행되는데 1단계는 페어와 함께 사다리 만들기를 구현하고2단계는 만들어진 사다리 결과를 도출/출력하는걸 혼자 구현하게 된다. 그 외에도 소프트스킬과 관련된 강의들도 진행되는데 우아한테크코스 자체가 하드스킬 / 소프트스킬 모두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는걸 알 수 있는 부분이었다.사다리 게임 구현 with 페어 (TDD)미션별로 새로운 페어와 작업을 하게 된다. 1단계 자체 기간이 길지는 않아서 약 3일정도 같이 작업을 하게되었다.아무래도 지.. 2024. 2. 26. [JAVA] 함수형 인터페이스 개념과 예시 함수형 인터페이스에 앞서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 '작업을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무엇을 할 것인지'에 집중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작업은 라이브러리가 알아서 처리하고, 사용자는 라이브러리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으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함수형 인터페이스란, 하나의 추상 메서드만 가지는 인터페이스이다. 함수형 인터페이스는 람다로 구현할 수 있다. 대신 여러 개의 메서드를 구현할 경우 함수형 인터페이스가 아니므로 람다로 구현할 수 없다. // 함수형 인터페이스 선언 @FunctionalInterface interface FunctionalInterfaceExample { int add(int a, int b); } // 함수형 인.. 2024. 2. 21. [우아한테크코스] Lv. 1 - 1주차 회고: 온보딩 드디어 우테코 과정이 시작되었다.첫날은 간단히 OT가 진행되었다.각 레벨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대략적인 기간은 어떻게 되는지, 진행방식은 어떻게 되는지 등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온보딩첫 주는 온보딩 과정으로 진행된다.진행해야 하는 미션은 크게 두 가지였다.1. 연극2. racing car 구현 with 페어연극다른 많은 분들의 회고에도 적혀있는 내용인데 올해도 온보딩 과제로 5분 이내의 조별 연극을 진행해야 했다.한 조는 5명 내외로 구성되어 있다.주제는 자유. 다른 크루들이 보고 싶은 내용을 담아야 한다.우리 조도 어떤 주제를 해야 할까 많은 고민을 했다.사람들이 "재밌게" 볼 수 있으면서 내용이 있는 스토리를 짜고 싶었다.하루정도 각자 생각해 본 뒤 생각해 본걸 편하게 얘기하는 시간을 과정을 .. 2024. 2. 19. Git SSH 등록, CLI 사용을 위한 인증(remote: Support for password authentication was removed on August 13, 2021.) 이번에 맥북을 바꾸면서 설정을 새로 해주어야하는 부분들이 많이 생겼다. 그중에 한 부분이 Github과 관련된 부분이었는데, 이전엔 연결 관련 설정이 되어있어서 push/pull에서 문제가 생기지 않았으나 이번에는 해당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했다. 에러문구 - remote: Support for password authentication was removed on August 13, 2021. 관련하여 해볼 수 있는 몇가지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 SSH 등록 ssh는 Secure shell의 줄임말로, 보안이 강화된 shell 접속을 의미한다. CLI(터미널)에서 다른 PC에 접속하거나 요청을 할 때 사용하며 비대칭키를 이용해 사용자를 인증한다. github에 ssh 공개키를 등록하는 방법, ssh.. 2024. 1. 18. 이전 1 ··· 3 4 5 6 7 8 9 ···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