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아한테크코스/레벨 2 - Spring8 [Spring] Controller, Service 레이어에서 DTO의 사용 이번에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면서 레이어드 아키텍처를 적용했다.계층간 데이터 전달 방법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는데,내가 어떤 고민을 했고 어떻게 진행하고 있는지 정리해보고자 한다. 레이어드 아키텍처(Layered Architecture)우선, 레이어드 아키텍처에 대해 알아보자.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관심사별로 여러개의 계층(레이어)으로 분리한 아키텍처를 말한다.크게 Presentation Layer, Service Layer, Data Access Layer 세 가지로 구분된다.크게 세개의 계층으로 나누는것은 유사하나 표현이 조금씩 다르게 사용되기도 한다. 각 레이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Presentation Layer: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 2024. 4. 24. [Spring] @Controller와 @RestController 차이, 그리고 ResponseEntity 드디어 스프링 관련된 미션이 시작되었다. 예전에 공부를 할 때에는 주어진 자료를 따라 치기에 집중했던 것 같아서, 이번에는 구체적인 원리나 차이점 등을 좀 더 살펴보면서 학습하고자 한다. 그 중 이번에 가장 먼저 다룰 내용은 @Controller와 @RestController이다. 컨트롤러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직접적으로 전달받는 엔드포인트(Endpoint)이다. 공식 문서에서 Spring MVC 컨트롤러에 대한 내용은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Spring MVC provides an annotation-based programming model where @Controller and @RestController components use annotations to express request ma.. 2024. 4. 1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