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92 95일차: Main-Project Day 2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서) 페이지 구성과 사용자 요구사항을 정리하는 날이었다. 어제까지는 ~~한 기능을 넣자. 는 내용에 대해 얘기했다면 오늘은 그 기능들이 어떤 페이지를 통해 구현되고, 페이지의 구성이 어떻게 되는지 얘기했다. 그리고 그러한 내용들을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서를 통해 문서화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확실히 말로만 얘기하던 것들을 눈으로 보이도록 정리하니 해야할 일들이 명확해졌다. 이번주 주말에 멘토링이 예정되어있는데 멘토링을 통해서 구현 가능한 범위나 궁금한 부분에 대한 정리가 될 것 같다. 회의를 하면서 프론트엔드, 백엔드가 같이 얘기를 나누니 서로 어떤 부분이 어렵고 어디까지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범위를 대략적으로라도 알 수 있어서 좋았다. 백엔드 부분만 학습하다보니 프론트분들이 하는 얘기 중 처음 듣는 들도 있었.. 2023. 6. 29. 94일차: Main-Project Day 1 (팀빌딩, 주제선정) 드디어 메인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팀이 조금 일찍 정해져서 팀빌딩과 주제선정을 비교적 빠르게 시작할 수 있었다. 프론트엔드 3명과 백엔드 3명으로 구성된 팀이다. 6명중에 5명이 지난 프리프로젝트에서 팀장 혹은 부팀장을 맡았던 분들이었다. (백엔드 세명 모두 전 프로젝트에서 백엔드 팀장 역할을 하면서 Security쪽을 했다는 사실이 신기했다.ㅎㅎ) 이번엔 팀원으로 참여하게 됐는데 팀원으로서 일하는 방법도 익힐 수 있을것같아서 좋다. 하루종일 회의를 하는동안 다들 적극적으로 의견을 얘기해서 회의시간을 꽉꽉 채워서 썼다. 심지어 발언 겹치는걸 방지하기위해 손들고 발표까지...🙋🏻♀️🙋🏻♂️ 대략적인 주제와 방향이 정해졌고 구체화 작업을 하고있다. 유저 시나리오를 생각해보면서 어떻게 페이지를 어떻게 구성.. 2023. 6. 28. 93일차: Pre-Project Day 13 (프리프로젝트 회고) 오늘로 13일간의 프리 프로젝트 기간이 끝이 났다. 정말 어떻게 지나갔는지 모를정도로 하루하루가 바쁘게 지나갔다. 매일매일 그날 한 일, 느낀점들을 간단히 남겨왔으니 오늘은 교육 컨텐츠에서 제시하는 회고 주제로 작성해보고자 한다. 1. 기대 혹은 염려했던 첫 프로젝트 경험은 어땠나요? 정말 너무나도 좋은 경험이었다. 약 3개월 반동안 학습을 하면서도 이걸 어떻게 쓸 수 있을지 감이 오지 않아서 막막했던 적이 있다. 프로젝트를 통해 하나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직접 구현하고 배포하는것까지 전 과정을 수행하면서 배웠던것들이 어떻게 쓰이는지, 내가 어떤 부분이 부족하고 어떻게 채워나가야할지 알 수 있는 시간이었다. 특히 Spring Security, 인증, 인가, 배포쪽에 대한 이해가 많이많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2023. 6. 27. 92일차: Pre-Project Day 12(배포: EC2, S3, RDS, gradle) 프리 프로젝트를 하면서 가장 오류를 많이 겪은 날이었다. 배포가 생각보다 쉽지 않을것 같다는 생각은 했지만, 이렇게 단계마다 에러를 겪게 될줄이야... 백엔드 팀원 세명의 코드를 모두 합치고 충돌나는 부분을 수정해서 코드를 정리했다. 로컬 환경에서 테스트를 할때는 인메모리 DB인 H2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했으나, 실제 배포 환경에서 인메모리 DB는 애플리케이션을 재실행할때마다 데이터가 날아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MySQL을 사용하기로 했고 AWS의 EC2, RDS, S3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로 했다. 먼저 MySQL을 사용할 수 있도록 코드를 수정하고, AWS의 서비스 인스턴스들을 생성했다. 이후 코드를 EC2에 클론해와서 실행시키는 순서로 진행했다. 크게 세가지 문제를 겪었고 다음과 같.. 2023. 6. 26. 91일차: Pre-Project Day 11 (Mapper/MapStruct 생성안됨) 코드를 실행하면서 가장 문제가 되었던 부분 중 하나가 Mapper였다. 분명히 메서드 파라미터 타입, 리턴 타입 모두 잘 작성되어있고 의존라이브러리도 추가되어있고, 애너테이션도 잘 붙어있고 인터페이스 타입으로 생성되어있고 Entity, Dto 필드명도 일치하는데 뭐가 문제일까 한참을 고민했다. 심지어 또 어떨때는 생성이 되기도하고 어떨땐 안되기도 해서 정말 뭐지? 라는 고민을 많이했다. (그래서 초반에는 일단 코드를 돌려야겠다는 생각에 디폴트 매퍼를 생성해서 사용하기도 했다.) 이제 코드가 어느정도 정리되고나니 여유가 생겨서 해당 부분 문제를 해결해보기로 했다. 구글링해보니 이유가 명확히 있었다. 사용중인 Lombok과 MapStruct간에 충돌이 나서 그렇다고 한다. Getter, Setter를 사용해.. 2023. 6. 23. 90일차: Pre-Project Day 10-2 (코드 Merge, CORS 오류 해결, Ngrok) 백엔드 팀원들의 코드를 모두 합친 첫날이었다. 아무래도 각자 다른 부분을 작성하고 연관관계도 있다보니 처음에는 컴파일 오류나는 부분들이 꽤 있었다. 그래도 import 설정을 추가하고 일부 수정했더니 다행히 코드가 잘 실행됐다. github에 코드 올리고 머지하는것도 이제는 조금 익숙해져서 비교적 큰 충돌 없이 잘 진행되고 있다. 아무래도 부트캠프 과정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하고있고 초기에 API명세, 테이블명세를 잘 작성해두어서 필드명이나 메서드명을 서로 참조하는게 편했던것같다. 다음에 본 프로젝트에 들어가서도 코드 구현 전에 분석, 설계 부분을 명확히 하는게 중요할것같다. 그런데 한가지 문제가 생겼다. 아직 배포환경은 구성하지 못해서 Ngrok을 통해서 프론트엔드 코드와 연동 테스트를 하려고했는데.. 2023. 6. 23.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32 다음